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etimagesize()
- error
- strpos()
- 오류
- SQL
- 일부 문자열 포함여부
- php
- implode()
- JavaScript
- jQuery
- DOM
- 부트캠프후기
- 노션
- myshortcut
- 이걸 그렇게 쓸 줄은 몰랐지
- formula
- MySQL
- srtpos()
- 문자열 포함여부
- explode()
- 배열
- react
- 특수문자 포함여부
- Excel
- ES6
- 함수
- 정규식
- node.js
- 현대이지웰java풀스택개발자아카데미6월
- 멀티캠퍼스it부트캠프
- Today
- Total
목록TIL (13)
코딩짜는 일상
📕 오늘 배운 것함수디폴트 매개변수객체(object)내장 객체Date 객체Array 객체Math 객체String 객체브라우저 객체window 객체setTimeout() / setInterval()문서 객체 모델(DOM) 📙 새로 알게 된 것document.cookie자바스크립트로도 쿠키에 접근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문제는 쿠키 활용법을 아직도 모르겠다는 것...😓 수업때 알려주시겠지...? 📗 오늘 회고자꾸 뭔가 거창하게 적으려고 TIL을 미루는 경향이 있다;;다행이 수기로 필기해둔 종이가 있어서 뭘 배웠는지는 알고 있음!일단은 일기처럼 적고 1주일이 지나면 그중 나름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을 복습해서 적어보는 방식이 좋을 것 같다.
📕 오늘 배운 것반복문whiledo while배열여러가지 배열 표현식얕은 복사깊은 복사깊은 복사 방법 3가지함수표현식기본 함수즉시실행 함수함수 반환값 (return)함수의 매개변수함수 호이스팅일반 함수익명 함수콜백 함수화살표 함수 표현식 📙 새로 알게 된 것do while주로 for, if, foreach만 쓰다보니 생소했다.최소 1번 이상 반복을 수행한다는 점이 독특함. 어딘가 쓰면 좋을 것 같은데 당장에 떠오르는 예시 없음...😓깊은 복사 방법 3가지map만 알고 있었는데 JSON 인코딩 후 다시 디코딩 하는 방법은 새롭다! 배열이 크면 클 수록 이 방법의 효율이 더 클듯.그 외에도 concat(), 스프레드 연산자 사용이 있는데 어느쪽이 더 효율적일지는 알아봐야 할듯...!익명 함수map,..
현재 우리 회사는 웹으로 작업한 페이지를 앱을 통해 보여줌으로써일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벤트 페이지) 그중 룰렛 이벤트 페이지를 내가 만들어 제공했는데,이상하게도 ios에서만 버튼이 동작하지 않는 오류가 있었다. 테스트 모달 처음에는 div type="button"이 안 먹히나보다~ 했다. 마침 디자인이 태그랑 비슷하겠다 a태그로 수정해 봤다. 테스트 모달 결과는 여전히 무반응... 다른 모달 팝업 버튼은 다 먹히는데 왜 얘만 안될까 해서 봤더니다른 버튼은 button으로 되어있길래 태그로 바꿨다. 디자인을 a태그랑 비슷하게 가져가야 해서스타일에 라인과 백그라운드를 투명으로 해줬다. ** 최종 ** 테스트 모달 ** 후기 **여전히 왜 이런 이슈가 있었는지 모르겠..
오늘 장장 2일에 걸쳐 야근까지 하고서야 겨우 고객 클레임건 정리를 끝냈다...정확히는 클레임 읽고 어떤 기능을 개발해야 할지 정리한 거니까 일종의 이슈 정리라고나 할까...작년 9월부터 현재까지 약 7개월 정도 되는데 그 양이 무려 500여 건 이더라... 다시 생각해도 아득;;근데 가만 보면 같은 내용 중복, 재문의 필요 건이 많아서 여기서 끝난 게 아닌가 싶다.재문의 건은 회신도 없었으니까.그 이슈가 사용자의 착각이었던 건지,해결했는데 기록만 없을 뿐인지,다른 클레임들에 묻혀 잊혀졌는지,나로선 알 길이 없다.이런 클레임만 제대로 소화했다면 더 많은 회원을 유치하지 않았을까, 짐작만 할 뿐...실제 반년이 넘도록 개선 안 된 건이 있는데...요게 최근에 '이야기한 지 몇 달이 지났는데 아직도 그대로냐..
어제 2주정도 붙잡고 있었던 array를 POST로 전달하는 문제를 해결했다.개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었는데... 들인 노력에 비해 코드는 적용도 못 되고 사라져야 했다.이유인 즉슨... 조회 결과를 배열로 만들어 주고받으면 조회된 rows가 많을 수록 배열 크기도 커지고 사용될 서버 메모리도 늘어날 것이라는 점이었다.덤으로 전달받을 녀석에겐 필요한데 조회해서 넘겨줄 녀석에겐 필요없는 칼럼의 경우...필요없는 칼럼까지 조회함으로써 시간을 더 소모할 수 있다는 단점도 추가된다.크~ 이걸로 백엔드가 갖춰야 할 관점에 대해 한 수 배웠다. 진짜 많이 생각해야되넹;; 뭐... 일단 해결책으로는1. 배열 말고 쿼리를 주고받는 걸로 바꾸고...2. 기능 on하면 GET이든 POST든 변수A를 1로 만들어..